본문 바로가기

선물, 시장모형, 화폐와 통화정책

위험성과 수익성 개념을 통한 효율적인 투자 전략

위험성과 수익성 개념을 통한 효율적인 투자 전략

위험성과 수익성 개념을 통한 효율적인 투자 전략
위험성과 수익성 개념을 통한 효율적인 투자 전략

왜 이렇게 위험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이 수익률을 확률변수로 보고, 여기서부터 기댓값, 분산, 표준 편차를 구해서 왜 이렇게 복잡한 공식들을 유도하고 이런 논의들을 하느냐 하는 것에 대해서 여러분들이 궁금증을 가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고려하는 것은 여러가지여러 가지 금융상품 중에서 투자 목적의 금융상품들을 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투자 목적이라고 하는 것은 미래에 더 큰 현금흐름을 얻기 위해서 현재 주어진 자금을 운용하는 것을 투자라고 정의를 했었고, 이러한 투자 목적의 금융상품들을 평가할 때는 다른 금융상품의 일반적인 여러 가지 속성들 중에서도 평가의 가장 중요한 속성은 위험성과 수익성, 수익성과 위험성이라고 이렇게 볼 수가 있겠지요. 왜냐면 투자 목적이라는 것은 바로 수익과 연결될 수 있고, 그 수익성이 높아야 투자 목적을 제대로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죠. 하지만 그렇게 수익성이 높은 것은 아무래도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야 하는 불이익이 있는 것이죠. 그래서 여러가지 투자 대상 금융상품들 중에서 수익성과 그 자산이 가지고 있는 위험성을 동시에 고려해서 가장 최적화된 투자 선택이 무엇이냐를 살펴보는 것이 바로 지금 논의되고 있는 그러한 내용들이 되겠습니다.

수익성과 위험성이 평가 기준

우리가 두 가지 기준, 수익성과 위험성을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고요. 그리고 그 두 가지 기준을 각각 수치화 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데, 위험성이라는 것은 보통 표준편차, 변동성, 그 표준편차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수익성은 수익률의 기대값, 기대수익률로서 나타내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해서 다양한 자산들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지 평가 기준들을 적용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자본시장선이라고 하는 것을 도출하게 되는 근본적인 배경이 여러가지 다양한 수익성과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자산들이 있었을 때, 과연 이것에 대한 합리적인 선택을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에 대해 이런 것들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이 없을까 하는 것에서 지금 논의되고 있는 것이 그 중요한 의의를 갖습니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가 배우고 있는 이런 개념 원리들이 바로 그러한 평가에 어떤 틀을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인 것이죠.

수익성과 위험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

우리가 공부하다 보면 '아 지금 우리가 이 내용들을 어디에 적용할 수 있겠구나', 지금 위험을 가진 여러 가지 투자대상 자산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거기에 어떻게 가격을 매겨서 투자를 하는 선택에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을 나중에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자본시장선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이냐 했을 때, 이미 의논 된 내용의 연장선상에서 동일하게 자본시장선을 정의할 수가 있는데, 바로 여기 나와있는 설명처럼 무위험자산을 포함했을 때, 무위험자산을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가장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기회 집합이 바로 자본시장선이 되겠습니다. 영어로 capital market line이라고 해서 줄여서는 CML이라고 표현을 하고 있고요.